[보도자료] 인천 온실가스의 49% 차지 영흥화력…지역 시민사회 “경제‧환경 비용만 키워, 2030년 문 닫아야”

  • DATE : 2025.09.17 00:00
  • HIT : 26


정부, 암모니아 혼소로 영흥화력 지속 사용 계획…시민사회 “온실가스 감축 아니라 석탄 사용 연장"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영흥 1,2호기 조기폐쇄’ 공약 이행 및 정의로운 전환 위한 지원 요구 

인천지역 시민사회, 오는 27일 서울 광화문 기후정의행진 출정 예정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 2030년 조기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16일 인천 지역 시민사회인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화석연료를넘어서는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한국남동발전, 인천시에 영흥화력발전소의 조기폐쇄와 재생에너지 기반의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했다. 

 

영흥화력 국내 61기 석탄발전소 중 6기가 밀집한 곳으로, 매년 약 3200만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이는 인천 전체 배출량의 절반(48.8%) 달하며, 미세먼지 역시 절반가량 이곳에서 발생한다. 시민사회는 “인천 시민들이 오랜 세월 피해를 감내해온 만큼, 더 이상 영흥화력의 수명을 연장해된다”고 촉구했다. 특히 이날 기자회견에는 인천 지역 시민사회가 함께 자리해 조기폐쇄와 정의로운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선희 인천해바람시민발전협동조합 이사장은 “유엔에 제출하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와 헌법재판소 기후소송 판결 이후 탄소중립기본법 개정이 기후정의 원칙에 입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및 확대, 그리고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인천시와 교육청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광호 민주노총 인천본부 본부장도 “석탄발전소 폐쇄와 산업전환 과정에서 노동자들에게 일방적인 비용과 부담이 전가돼선 안 된다”며 “노동자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산업 전환, 정의로운 전환 논의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정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영흥화력 애초 수명이었던 30년을 채우지 않았다는 이유로 암모니아 혼소 및 수소 전환을 통해 운영을 지속하는 계획 포함다. 시민사회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재생에너지에 기반하지 않은 연료전환은 실질적 감축 효과가 없는 허위 탄소중립 대책”이라며 “경제성과 환경성 모두에서 사회적 비용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비판했다.